본문 바로가기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법 한 번에 확인하기!

gguris 2025. 2. 9.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법 한 번에 확인하기! 

최근 많은 근로자분들이 '주휴수당'에 대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 최저임금이 변경됨에 따라, 주휴수당 계산 방식도 새롭게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을 성실하게 개근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일주일 동안 성실하게 일한 근로자에게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보장해 주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음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일을 개근해야 합니다.

- 주당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주 14시간 이하 근무자는 주휴수당 대상이 아님)

이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반드시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2. 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시급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2025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확정됨에 따라, 주휴수당 계산 방식도 이에 맞춰 적용됩니다.

(1) 정규 근무자(주 40시간 근무)의 주휴수당 계산법

주 40시간 근무하는 정규 근로자는 8시간분의 시급을 주휴수당으로 받습니다.

  • 계산식: 시급 × 8시간
  • 예시: 2025년 최저시급 적용 시 → 10,030원 × 8시간 = 80,240원

즉, 주 40시간 근무하는 근로자는 매주 80,240원의 주휴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2)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법

주 40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아르바이트생이나 단시간 근로자는 근무시간 비율에 따라 주휴수당이 결정됩니다.

  • 계산식: (1주 근무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 예시: 주 20시간 근무 시
    • (20시간 ÷ 40시간) × 8시간 × 10,030원 = 40,120원

즉, 주 20시간 근무하는 근로자는 매주 40,120원의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3.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 방법

주휴수당을 쉽게 계산하려면 온라인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간편한 방법입니다. 정확한 금액을 계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노동OK    https://www.nodong.kr/WeeklyHolidayPay

 

노동OK 홈페이지에서 소정 근로시간과 시급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정확한 주휴수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르바이트생이나 단기 근로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4. 주휴수당 지급 시 유의해야 할 사항

주휴수당은 모든 근로자가 누릴 수 있는 기본 권리입니다. 그러나 일부 사업장에서 이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1) 주휴수당 미지급은 법 위반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것은 명백한 법 위반입니다. 만약 주휴수당을 지급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하여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2) 4대 보험 가입 여부와 무관

주휴수당은 4대 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즉, 아르바이트생이나 단기 근로자도 요건만 충족하면 반드시 받을 수 있습니다.

(3) 수습 기간에도 주휴수당 지급 가능

수습 기간이라도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했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최저임금의 90%를 지급받는 경우에는 금액이 일부 조정될 수 있습니다.

 

5. 주휴수당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A)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주휴수당 관련 질문을 모아 답변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Q1. 주휴수당을 현금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받을 수도 있나요?

A: 원칙적으로 주휴수당은 급여와 함께 지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업주가 현금 대신 다른 방식(예: 식사 제공)으로 지급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Q2. 주휴수당은 언제 지급되나요?

A: 일반적으로 월급이나 주급과 함께 지급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지급일은 근로계약서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주휴수당에도 세금이 부과되나요?

A: 네, 주휴수당도 과세 대상입니다. 따라서 근로소득세 및 4대 보험료가 공제될 수 있습니다.

Q4. 주휴수당을 포함한 총 급여가 최저임금보다 낮을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주휴수당을 포함한 총 급여는 반드시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합니다. 만약 최저임금보다 적다면 법 위반에 해당됩니다.

Q5. 프리랜서나 특수고용직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게만 적용되며, 프리랜서나 특수고용직은 대상이 아닙니다.

 

2025년 기준 주휴수당 계산법과 주휴수당 관련 내용을 완벽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해 주휴수당을 확인해 보세요~

노동OK    https://www.nodong.kr/WeeklyHolidayPay

댓글